최근 KBS 드라마 '꽃보다 남자'가 대히트를 치면서 연예계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다. 시청률도 굉장히 잘 나오고 있고, MBC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대작이었던 '에덴의 동쪽' 마저 누르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각종 예능프로그램과 개그프로그램에서는 '꽃보다 남자' 를 적극 활용하고 있고, 드라마 OST 도 계속 예능프로그램과 개그프로그램에서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런 프로그램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편하지 않은게 사실이다. '꽃보다 남자'를 모든 국민들이 알고 있는 것도 아니고, 주시청자층이 젊은 세대임을 감안해 보더라도 '꽃보다 남자' 를 패러디하거나 그에 관한 얘기를 하는 예능프로그램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많다는 것이다.
나같은 경우에도 '꽃보다 남자'를 시청하지 않으니 F4니, 구준표,금잔디니 하는 주인공들 이름과 역할에 대한 정보 없이 프로그램을 보면, 웃음포인트를 찾지 못하고 헤매면서 바보된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있다. 물론 패러디를 하거나 드라마 흥행에 어느정도 편승하려는 분위기는 인정하지만 어느정도 수위를 조절해줘야 하는데 마치 약속이나 한듯 어딜가나 '꽃보다 남자' 타령이니 그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가 최근에 시청한 예능프로그램 중 '꽃보다 남자'를 패러디하거나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무한도전(패러디), 스타킹(구준표 닮은꼴 출연), 야심만만 (F4 특집), 개그콘서트(패러디), 샴페인(유부남 F4), 해피투게더 (방송예정) 등 거의 일주일을 '꽃보다 남자' 'F4' 로 채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꽃보다 남자' 가 없으면 예능프로그램을 만들지 못하는 것일까? 당연히 아닐것이다.
꽃보다 남자가 시청률이 좋으니 이를 패러디하거나 활용하면 시청률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니 그 유혹에 쉽게 빠지는 것이다. 특히 억지로 끼워넣는 설정은 너무 심할 정도이다. 아무런 연관도 없는 게스트들이 나왔는데 구준표네 금잔디네 소이정이네 하는 모습들은 도를 넘어선 것임은 분명하다.
예능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은 그 예능프로그램을 보고 싶어서 보는 것이지 '꽃보다 남자'를 보고 싶어서 보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단순히 시청률 상승에 도움이 된다고 억지로 '꽃보다 남자'를 패러디하거나 특집이라고 내놓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드라마가 흥행했을 때 그 드라마를 예능프로그램에서 패러디하거나 활용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름만 그 드라마 특집이라고 갖다 쓴다든지 억지설정을 만든다는지 하는 것은 시청자에 대한 예의도 아니뿐더러 그 드라마를 고생해서 만들고, 그 드라마에 출연하는 연기자에게 오히려 먹칠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앞으로 드라마가 끝날 때까지는 '꽃보다 남자' 중독에 빠진 예능 프로그램이 계속 나올 것이다. 하지만 길게봤을 때 그것이 자칫 잘못하면 독이 될 수 있음을 알아두었으면 한다. 그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모든 시청자들에게 공통된 웃음을 끌어낼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이 더욱 많이 만들어지길 진심으로 기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