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에 시스템 종료시키기]
바탕화면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새로만들기>에서 <바로가기>를 하나 만듭니다.
명령줄에 C:\Windows\RUNDLL.EXE user.exe,exitwindows라고 입력(띄어쓰기 주의)합니다.
바로가기 이름은 사용자 마음대로 정하세요.
바로가기 이름은 사용자 마음대로 정하세요.
이제 종료할때 시작 - 종료 할 필요 없이 새로 만든 아이콘만 실행하면 바로 종료 되겠죠.
[바탕화면 테마는 윈도우 속도를 느리게 하는 원인]
윈도우즈 테마는 보기는 좋지만 리소스를 엄청 먹음(속도가 느려진다는 뜻)
팬테엄II 이상이시면 어느정도 사용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안쓰는 편이 낫겠죠.
리소스를 확인 하실려면 내컴퓨터 - 등록정보 - 성능탭 이곳을 보시면 시스템 리소스가 있을 것입니다.
[메뉴 빠르게 열기]
시작 - 실행 - regedit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으로 가서 메뉴의 편집-등록-문자열값을 누름,newvalue #1이 생기면 이름을 menushowdelay로 바꾼다.
수정하여 이 값을 0으로 한다.
수정하여 이 값을 0으로 한다.
위와 작업 수행과 함께 윈도우 창, 메뉴, 목록의 애니메이션 효과 없애기(빠르게)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에서 <효과>탭의 창, 메뉴, 목록에서 애니메이션 사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위의 두가지를 해놓고, 시작 메뉴를 열면 열리는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졌다는 것을 체감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시스템은 그대로지만 체감속도는 200%상승 !!!" 느낌이 그렇습니다.
[윈도우98 시작후 빠르게]
WINDOWS/SYSTEM 안의 파일수와 용량을 되도록이면 적게 유지하기.(쓰지도 않을 프로그램은 깔지도 말구 있다면 과감히 지우는 지혜가 필요함) 윈98 위에서는 되도록이면 엑세서리를 사용은 자제하세요.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너무많이 두지 마시고 큰아이콘 보다는 작은 아이콘을 사용하시길.
<디스플레이>-><화면배식>-><항목>-><아이콘>-><크기(Z)>-><제어판>-><시스템>-><성능>-><파일시스템>-><시스템용도>를 네트워크 서버로 바꿀것
(램이 32M 이상일때 권장.) 색상수 16bit로도 충분하다. 불필요하게 24비트를 사용할 필요없음(그래픽처리 속도만 느려진다.)특별히 그래픽작업을 하지않는다면 하이컬러16비트로도 충분합니다.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너무많이 두지 마시고 큰아이콘 보다는 작은 아이콘을 사용하시길.
<디스플레이>-><화면배식>-><항목>-><아이콘>-><크기(Z)>-><제어판>-><시스템>-><성능>-><파일시스템>-><시스템용도>를 네트워크 서버로 바꿀것
(램이 32M 이상일때 권장.) 색상수 16bit로도 충분하다. 불필요하게 24비트를 사용할 필요없음(그래픽처리 속도만 느려진다.)특별히 그래픽작업을 하지않는다면 하이컬러16비트로도 충분합니다.
[폴더와 파일을 최적화 시키자!!]
FAT(FAT32포함) 방식의 도스나 윈도우 9*의 파일 시스템은 하위폴더가 5단계 이상으로 내려 가면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위폴더는 5단계 이내로 해 주는 것이 좋고 루트디렉토리(C:\)의 파일 수는 적을수록 좋습니다. 파일이 많으면 시스템 파일이나 자주 쓰는 파일 등을 찾기 위해 시간이 조금이라도 더 소모되기 때문에*.CHK 파일이나 *.BAK 파일은 대부분 지워도 상관없는 파일입니다.
도스에서 루트로 이동한 후 DIR을 입력해 보세요.
자신의 루트에 있는 폴더와 파일들의 정보가 세 화면 이상 넘어간다면 지금 당장 폴더와 파일 최적화에 돌입해야 합니다.
폴더와 파일을 루트에 어느 정도 만들어야 한다는 원칙은 없지만 빠른 컴퓨팅 환경을 원한다면 다음 원칙에 따라 하드디스크를 정리해 보세요.
1. 프로그램 디렉토리에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지 않는다.
사용자들이 가장 저지르기 쉬운 실수 중의 하나는 데이터 파일을 프로그램 디렉토리<예:Program Files 폴더>에 저장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들의 기본 설치 디렉토리는 Program Files로 지정되어 있어 설치시에 편리하고Program Files 디렉토리에만 들어가면 모두 들어 있으니 통합성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합니다.
그렇지만 백업과 파일이동 등을 자주 하는 사용자라면 별로 권장할 만한 사항이 아닙니다.
디렉토리 경로의 길이도 길어져 파일 이동시에 불편하고 자칫하면 이것이 무슨 종류의 프로그램인지 잊어 먹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그룹으로 다룬다.
현재 시스템에 많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다량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이들을 주요 프로그램 그룹 디렉토리 이름으로 관리하십시요. 예를 들어 20개의 게임과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루트 디렉토리에 바로 설치하는 것보다 상위 디렉토리 <예 : C:\Games,c:\Office, c:\Data>등을 만들어 관련 있는 프로그램을 서브 디렉토리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3.불필요한 폴더나 파일을 만들지 말자.
폴더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컴퓨터는 느려지고 하드디스크만 고생합니다
a:WIN 키에서의 단축키
최근 많이 보급된 윈도우용 키보드에는 위녿우 로고가 붙어 있는 이른바 윈(WIN) 키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은 시작메뉴를 여는 기능 외에도 단축키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바탕화면의 단축 아이콘마다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운하는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등록정보를 띄운 다음 `바로가는 키` 항목에 원하는 키를 입력하면 바로가는 키가 어떤지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그 키가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합니다.
운하는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등록정보를 띄운 다음 `바로가는 키` 항목에 원하는 키를 입력하면 바로가는 키가 어떤지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그 키가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합니다.
WIN+R
실행창
WIN+E
윈도우즈 탐색기
WIN+M
모든 창 최소화
WIN+D
모든 창 최소화/이전 화면으로
WIN+F
찾기
b:WIN 키를 이용한 빠른 제어판 실행
WIN 키를 누른 후 S와 C를 차례로 눌러주면 바로 제어판이 뜸<캐시메모리와 스왑설정으로 빠르게>
CacheMan이란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윈도우에 설정된 캐시를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파워유저, 초급자, 일반 사용자, 퀘이크용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캐시 메모리를 설정할 수 있는데, 각 통신망 자료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또는 윈도우 폴더에 있는 SYSTEM.INI 파일을 편집기로 불러와 <Vcache> 메뉴에 있는 Minfilecache와 Maxfilecache를 자기 메모리 용량의 1/6이나 1/4 정도로 설정해 줍니다.
또는 윈도우 폴더에 있는 SYSTEM.INI 파일을 편집기로 불러와 <Vcache> 메뉴에 있는 Minfilecache와 Maxfilecache를 자기 메모리 용량의 1/6이나 1/4 정도로 설정해 줍니다.
이때 Minfilecache와 Maxfilecache의 값은 같은 수로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 제어판의 <시스템-성능> 탭으로 이동 후 파일 시스템을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서버로 변경하고(램이 16MB 이상의 사용자만), 가상 메모리는 "사용자가 직접 가상 메모리 설정을 "관리" 를 선택(모든 경고는 무시)하고 최소와 최대를 자기 메모리 용량의 1.5배 정도로 적당히 잡아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파일 크기 조정을 윈도우가 관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속도가 향상됩니다.
다만 특정 시스템에서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하드디스크가 2개 이상이라면 주하드(일반적으로 C드라이브)에 가상 메모리 파일을 두지 말고 다른 하드디스크에 넣는 것이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가상 메모리는 프로그램 시작과 동시에 기록이 되어 하드디스크를 읽게 되는데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C드라이브에 있으므로 서로 다른 드라이브를 이용해 하드디스크가 보다 원활한 속도를 낼 수 있게 하는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