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복 申潤福 1758(영조 34)~? 조선후기의 화가.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본관은 고령(高靈). 화원(畵員). 벼슬은 첨정(僉正)에 올랐다. 혜원 신윤복은 정확한 생존시기가 알려져 있지 않은 화가이나, 김홍도로부터 영향을 받은 사람이다. 그러나 신윤복은 김홍도에게서 받은 영향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하고 새롭게 변화시켜서 그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창안하여 김홍도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풍속화의 대가가 되었다. 당시의 서민 사회의 풍속을 매우 세밀하게 잘 그려, 김홍도와 함께 조선의 대표적인 화가로 손꼽힌다. 훌륭한 그림을 많이 그려 한국 미술사에 커다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양반 중심의 체계적 문화에서 벗어나 부녀자들을 그리는 등 그림의 소재의 다변화를 꾀하였다. 시골 주막의 서정적인 풍속을 날카로운 화필로 잘 그려냈다. 현 사회에 살고 있는 인간들의 참된 모습을 즐겨 화폭에 담았다. 김홍도와 함께 조선사회의 대표적인 화가로 손꼽히며 그의 작품 중 대다수는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주류이다. 비록 김홍도처럼 임금님 밑에서 그림을 그리지는 않았으나 그만의 대단한 선과 아름다운 필체로 사람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그의 작품대다수는 항상 부녀자들이 나오며 양반도 어김없이 등장한다. 대부분 양반들은 앉은 자세로 향연을 즐기고 있는 모습이며 부녀자들은 춤추고 노래하고 술을 따르며 기생으로서의 본분을 다하고 있는 모습이다. 우리 민족의 민속놀이나 흥겨운 농악을 그린 김홍도에 비해 신윤복은 세밀하고 표독스러운 느낌을 멋지게 자아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사물의 모습을 한층 더 화사하고 화려하게 돋보이기 위하여 배경을 그 색에 맞게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
24일 첫 전파를 탄 SBS드라마 '바람의 화원'은 박신양-문근영 두 연기파 배우의 호흡으로 방영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국민 여동생'의 타이틀을 벗고 한층 깊어진 눈빛과 성숙한 연기력으로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문근영이 갓과 도포를 쓴 채 남성의 연기를 소화해내는 모습속에서 시청자들은 5년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한 그녀의 연기력에 호평을 받기에 충분했다.
조선 후기 천재 화가 신윤복을 연기한 문근영은 극중 스스로 가슴 복대를 하며 '남장 여자'로 변신, 화장기 없는 자연스러운 모습 속에서도 야무진 표정과 말투로 극을 이끌었다. 이날 문근영은 초반 김홍도(박신양 분)의 회상신을 제외하고 계속 남장으로 등장했으며 극의 반 이상을 소화해내며 깊어진 연기 내공을 자랑한다.
한편 이날 '바람의 화원'에서는 신윤복과 고고한 기생 정향(문채원 분)의 첫만남이 그려졌다. 또 함께 묘향산에서 자유로이 그림을 그리던 김홍도가 한양에 돌아와 신윤복과 운명적으로 만나는 장면이 연출돼 향후 드라마 전개에 대한 기대감을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