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멜라민이 몸에 안좋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멜라민은 중요한 화공원료중에 하나이고 합성수지, 플라스틱, 도료등에 많이 쓰입니다. 멜라민은 생산하는 과정에서 찌꺼기가 나타나는데 이들 찌꺼기에도 70%의 멜라민이 함유되있기는 합니다. 값싸게 구하는 사람들이 이런제품을 구해서 과자나 분유에 넣어 팔기도합니다.
멜라민이 중국내에서 '단백정'으로 팔리고 있는 이유는 독성이 낮다고 생각해서일 것이고 먹어봐야 사람이 죽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해서일 것입니다. 쥐가 멜라민을 먹는경우 반치사량(독리학의 상용지수 절반의 실험 대상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것입니다)은 대략 1000그램체중에 3그램입니다.
식염수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137ppm이라고 하셨죠. 일단 ppm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피피엠(ppm)이 parts per million 의 약자구요,100만분의 1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서 물 1kg은 1,000g이고,1g은 1,000mg이니까..[ 물 1kg을 mg으로 환산하면 1(kg) x 1,000(g/kg) x 1,000(mg/g) = 1,000,000mg. ]1,000,000mg에 어떤 오염 물질이 1mg 포함되어 있을때, 이것을 1ppm이라고 합니다.
그럼 알기쉽게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1. 멜라민은 뭡니까?
질소함량이 풍부한 흰 결정체의 모양으로 많이 발견되는 유기물입니다.
2. 멜라민은 주로 어디서 사용됩니까?
주로 플라스틱, 접착제, 주방용조리대, 접시류, 화이트보드, 화학비료에 사용됩니다.
3. 왜 우유 혹은 분유에 멜라민을 첨가하였습니까?
중국에서 우유에 대한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물과 우유를 섞습니다.
이러면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이 묽어집니다.
회사에서는 단백질 농도를 보통 질소함량으로 검사합니다.
멜라민에는 질소가 아주 풍부하기 때문에 멜라민을 섞는다면 검사시 단백질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비정상적으로 질소함량이 높은 변형된 우유가 만들어졌습니다.
더욱이 WHO 혹은 어떤 나라에서도 멜라민을 음식에 첨가하는 것을 허가하지는 않습니다.
4. 멜라민이 다른 음식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나요?
2007년 중국에서 만들어져 미국으로 수출된 애완동물사료에서 멜라민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때문에 수많은 개와 고양이들이 신장질환으로 죽었습니다.
현재는 수많은 분유뿐만 아니라 얼린 요거트와 캔커피에서도 멜라민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렇게 멜라민이 첨가된 음식물은 모두 멜라민으로 오염된 우유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5. 멜라민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아직까지 인간에게 어떤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지만,
동물연구에서는 건강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특히 멜라민이 첨가된 화학물에 보통 존재하는 시아누르산(cyanuric acid)와 결합하여
신장에 결석을 일으키게 됩니다.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작은 결정체들이 신장에 존재하는 소변이 지나가는 작은 관을 막게 되고
이것이 소변의 생성을 막게되어 신장기능이 악화되며 어떤경우에서는 사망하게 됩니다.
동물실험에서 멜라민은 암유발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6. 멜라민 중독시 증상은 어떻게 되나요?
불안감을 보일 수 있으며, 소변에서 피가 보일수도 있고,
소변이 거의 안나올 수도 있으며 신장염의 증세가 있을 수 있고 고혈압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멜라민으로 인한 신장질환시 치료는 어떻게 되나요?
신장질환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치료방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로 수액제치료를 포함하여 소변을 알칼리화시켜야 하며
인슐린투여와 바이카보네이트등을 투여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혈압을 낮추어야 하며 복막투석을 할수도 있습니다.
또한 신장결석에 대한 수술을 시행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