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안재환의 자살로 부터 시작된 이번 최진실 자살에서 보듯이 사회에 파급될 영향도 우려스려운 면도 있는 게 사실입니다. 일명 베르트르효과로 일컫는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트르의 슬픔이 당시 독일 사회에 자살 신드롬을 낳게 하듯이 일부 우리 사회에도 그러한 영향이 일어 날까 염려 스러운 것입니다. 일반인들 또한 모방자살이 염려가 되는 대목입니다. 안재환의 사건처럼 말입니다. 사람은 대개 두 가지 정도의 가치에 집착을 한다고 합니다 첫째는 존재에 집착을 하는 것이고, 둘째는 비존재에 대한 집착을 한다고 합니다. 흔히들 자살은 두번째 비존재에 대한 집착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파괴에 의한 즉, 즉 내가 죽어 버리면 모든 것이 끝나 버린다는 비존재에 대한 집착들이 때로는 자살을 불러오고 한편으로 파괴에 의한 투쟁을 불러 오기도 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우리의 삶은 죽음이라는 절대적 명제를 피할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죽음에 대한 근원적 집착을 하는 우리의 본능적 한계를 뛰어 넘어 내가 당하고 있는 존재와 내가 존재 하지 않을 것이라는 허망한 비존재에 대한 집착으로 부터 벗어나려는 정신적 훈련이 평소때에도 필요한 것이지요. 때로는 스스로 자신한테 관대해 질 필요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저 한번 왔다가 가는 게 인생인데 물 흐릇듯이 살아 가면 되는 것. 지금 좀 어려우면 어떤가. 지금 내가 부귀 영화를 누리는게 무엇이고 누리지 못하는게 또한 무엇인가."라는 양극단을 배제하고 중도적 삶을 살아가려는 마음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냉정히 본다면 자살도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 중 욕망의 표현인 교만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내가 죽어 버리면 모든 것이 끝나 버린다는 비존재에 대한 집착이 자살이라는 극단적 결과를 낳게 할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인기 탤런트 최진실의 죽음을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느껴야 하는 것 일까요. 우리의 삶이 허망하기만 한가요. 그의 가엾은 영혼에 대하여 명복을 빌며 애도만을 하기에는 한때 그가 차지 했던 사회적 비중에 의한 우리 사회 특히 젊은 층에 미칠 영향에 의한 정신 건강의 부정적 면이 심히 염려스럽기 짝이 없습니다. 자살은 교만입니다. 인생이 별 것 있나요. 그저 왔다가 그저 가는 게 우리의 삶인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