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고 안재환의 사망 이후 한동안 악플이 쏟아지는 것을 방치하다 뒤늦게 댓글 차단 조치를 한 데 비해서는 발빠른 대응이다. 하지만 포털은 그동안 안재환 사망 이후 최진실 루머까지 관련 루머가 사이트에서 활개치는 것을 방치하다 사건이 벌어지자 부랴부랴 댓글을 차단했다는 지적을 샀다.
한편 경찰 브리핑을 통해 최진실이 악플로 상당한 마음 고생을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악플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정다빈 유니 등 자살로 생을 마감한 연예인들이 악플로 우울증에 시달렸던 사실이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실명제 등 근본적인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악플에 대한 고통은 비단 연예인 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을 방문했던 임수경씨가 아들의 죽음에 악플을 올렸던 네티즌을 고소하기도 했으며, 미니홈페이지에 악플로 왕따를 당했던 고교생의 자살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 상태이다. 이를 두고 인터넷 이용과 법적 통제라는 찬반 양론이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악플로 고통을 받았던 최진실의 죽음은 이 법안의 통과에 무게를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모방자살에 대해서도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것이다. 유명한 배우가 자살하고나서 항상 그 뒤를 따르는 베르테르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주위에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있나 살펴보고 행동도 관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