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도 어떤 소립자(물질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에 한해서는 시간여행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것.
미국 앨러배머 대학(the University of Alabama)의 헤인리 파스(Heinrich Pas)교수는 "'뉴트리노'(강한상호작용 - 2개의 소립자가 약 10-15m의 거리에 있을 때 작용하는 힘 - 을 하지 않는 경입자족에 속한 중성미자)는 봄 하늘에서 내리는 빗방울처럼 지구를 빠져나가버려 어디에도 없는 소립자와 같다."며 "이러한 뉴트리노가 3차원 세계 밖에도 존재하고 있어 시간여행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스라엘의 유명 공과대학 '테크니온 공과대학'(Technion-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의 아모스 오리(Amos Ori)교수도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가능한 새로운 이론을 제안해 파스 교수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오리 교수의 이론은 가상의 조건과 상황을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으로 그가 고안해 낸 과 학적 용어인 '폐쇄된 시간 모양의 커브'(closed time-like curves)형성의 가설적 조건을 담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의 이론이 향후 다른 물리학자들에 의해서도 증명이 된다면 '타임머신'의 새로운 구성을 이끌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오리교수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사실상 행성처럼 거대한 물체가 잡아당기는 중력이 시공간을 되돌릴 수 있음을 말한다."며 “지금까지의 시간여행 이론은 시간의 윤곽이 사실상 고리모양의 형태로 돌이킬 수 있다는 '벤딩 시공간'에 근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타임루프'(time loop)의 발생을 가능케하는 가설적 윤곽을 그려냈다."며 "이론상으로 '타임루프'안에서는 시간이 스스로 과거쪽으로 완만한 굴곡을 그리며 되돌아갈 수 있어서 사람들이 그 루프를 따라 여행한다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페르미 연구소(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는 파스 교수와 오리 교수의 이론을 증명중에 있으며 오리 교수의 이론은 물리학 저널 ‘피지컬 리뷰’(Physical Review)에 게재되었다.